Java 23

DB Connection pool을 사용해야하는 이유와 이점

Connection Pool 이란? Connection Pool 이 무엇인지 아주 쉽게 기억하는 방법은 단어 그대로 해석하는 것이다. 즉, Connection들의 pool(웅덩이)라는 것이다. 먼저 Connection Pool 을 사용하지 않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처리과정을 살펴보자. 웹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이 들어오면 쓰레드를 생성한다. 대부분의 비지니스 로직에서는 DB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얻어서 그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DB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DB서버에 지속적으로 접근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String driverPath = "shop.pointman.jdbc.Driver"; String address = "jdbc:jtds:sqlserver:127.0.0...

Java 2023.05.03

코딩 폰트

코딩 전용 폰트 코딩 전용 폰트는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기본 폰트를 사용하여 개발해도 문제는 없으나 나중에 코드의 길이가 길어지고 복잡해지면 문자를 구별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0 O o I l i L(나눔고딕) 여기에 있는 문자는 모두 다른 문자이다 하지만 구별하기가 어렵고 직관적이지 않다. 위와 같이 코딩 전용 폰트(나눔고딕코딩)를 사용하면 0(숫자)O(영어) l(영어 L) I(영어i)를 더욱 직관적이게 표현하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쉽다. 폰트는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하지만 폰트의 가격은 코딩을 배우는 입문자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네이버에서 재공하는 무료 코딩폰트를 다운받아 사용하자 1.나눔고딕코딩 https://github.com/naver/nanumfont naver/nanum..

Java/세팅 2021.07.11

삼항 연산자 (ㅁ?A:B)

삼항 연사자란, 항이 3개가 나오기 때문에 3항 연산자라고 한다. (조건) ? (true) : (false) 조건이 맞을 때 (true) 값을 나타내고 조건과 맞지 않을 때 (false) 값을 나타낸다 예) int a = 5; 5==a ? "5가 맞습니다." : "5가 아닙니다." // a와 5는 같습니까? (true) (false) 결과: 5가 맞습니다. (true) int a = 5; 1==a? "1이 맞습니다." : "1이 아닙니다." //a와 1은 같습니까? (true) (false) 결과: 1이 아닙니다.(fals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0; System.out.println((num==0)? 0:num>0?"양수":"음수"..

Java 2021.07.07

등가비교 연산자(==, !=)

=와 == 의 차이는 =는 대입연산자로 (x=y) y의 값을 x에 저장하겠다 라는 뜻이고 ==는 등가비교 연산자로 (x==y) x와 y는 같다 라는 뜻으로 두 연산자를 혼동하면 안된다. 1. 10은 int 탕입이고 10.0f는 float타입이므로 자동형변환(int->float)으로 10.0f==10.0f 가 되므로 true의 결과를 갖는다. 2. 문자형 0은 유니코드(48)이므로 48 == 0 결과 false가 된다. 3. 문자형 A는 유니코드(65)이므로 65 == 65 결과 true가 된다. 4. 문자형 A는 유니코드(65) 문자형 B는 유니코드(66)이므로 65 == 66 결과 false가 된다. 5. 문자형 A는 유니코드(65) 문자형 B는 유니코드(66)이므로 (65+1)66 != 66 서로의 ..

Java 2021.07.07

비교 연산자 (<, >, >=, <=)

X Y = X greater than Y (gt) = 크거나 같다, 작거나 크다 등의 연산자는 두 개의 부호를[(>,, =< 등의 오타를 내지 않도록 주의한다. 문자열의 비교 두 문자열을 비교 할 때는 비교연산자 == 대신 equals()라는 메서드를 사용해야 한다. ==를 사용한 (2.)을 보면 내용은 같지만 flase가 나온다 그 이유는 서로 다른 객체라서 그렇다. 하지만 equals를 사용한 (4.)를 보면 true 가 나온다. 즉, 문자열을 비교할 때는 항상 equals()를 사용해야한다. 만일 대소문자를 구렵하지 않고 비교하고싶으면 (6.) equalsIgnoreCase를 사용하도록 하자

Java 2021.07.07

증감 연산자 (++, --)

증가 연산자 (++)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 감소 연산자 (--)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 증감 연산자에는 2가지 형태가 있다. 전위형: ++x, --x 후위형: x++, x-- 증감 연산자를 사용하면 코드가 간결해지지만, 지나치면 코드가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워지기도 한다. int x= 5; x= x++ - ++ x; 이와 같은 수식이 있다면 x의 값은 -1? -2? 이러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식에 두 번 이상 포함된 변수에 증감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Java 2021.07.07